System
-
파일시스템과 파티션System/Linux 2020. 4. 27. 15:16
파일시스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운영체제의 논리적인 구조 - 각 OS들은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Linux : xfs, ext4, ext3, jfs, ReiserFS… Windows : FAT, FAT32, NTFS 등 UNIX : UFS(UNIX File System), ZFS IOS : APFS(Apple File System), HFS+ 파티션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인 저장영역으로 구별한 것 MBR 디스크의 앞쪽이 물리적으로 정의되어있는 sector OS가 직접 사용하지 않으며 부트로더가 저장된다. Primary partition 물리적인 디스크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파일시스템을 생성, 운 영체제가 직접 사용 가능하다. 각 물리적인 디스크마다 4개까지 생성할 수 있다. Extended..
-
리눅스 파일 구조 및 퍼미션System/Linux 2020. 4. 27. 14:06
drwxr-x--- 2 root root 4096 Dec 18 12:31 aa - rw------- 1 root root 2019 Dec 4 01:38 ab.txt 리눅스에서 ls -al을 입력했을 때 볼 수있는 파일 목록이다. 한 라인을 총 8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1. 파일종류 2. 퍼미션 3. 하드링크 수 4. 소유자 5. 그룹 소유자 6. 파일크기 7. 마지막 변경일 8. 파일명 파일의 종류 - : 일반 파일 d : 디렉토리 l : 링크 파일 b : 블록 디바이스 파일 c : 문자 디바이스 파일 • 블록 디바이스 파일은 i/o의 최소 단위가 OS에서 정한 blk 단위 로 cache 가능하다. • 문자 디바이스 파일은 순차적인 입출력하는 파일이다. 퍼미션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허가정도..
-
리눅스 기초 명령어System/Linux 2020. 4. 23. 20:16
리눅스 명령어 형식 command [-단일 문자 옵션] [--다중 문자 옵션] 디렉터리의 표현 / : 최상위 root 디렉터리 (절대 경로 표현의 기준) ./ : 현재 디렉터리 (상대 경로 표현의 기준 : 생략 가능) ../ : 현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 ~/ : 각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cd [이동할 디렉토리명]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보통 옵션이 없이 사용한다. pwd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를 절대 경로 표현법으로 출력한다. rmdir [삭제할 디렉토리명] 지정한 디렉터리를 삭제한다. 디렉터리가 비워져 있는 경우만 삭제 가능하다. mkdir [옵션] [생성할 디렉토리명] 지정한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생성된 디렉터리는 생성한 유저의 소유가 된다. -옵션 -p, --parents (필요하다면 생성하..
-
리눅스 사용자 관리System/Linux 2020. 4. 23. 17:53
* 관련 파일 /etc/passwd 사용자의 기본 등록 정보가 저장 사용자 패스워드의 경우 shadow password 사용 useradd 명령을 이용 등록 사용자의 직접 수정이 가능(추천하지 않는다) 형식 계정:암호:UID:GID:주석:홈디렉토리:쉘 ex) root:x:0:0:root:/root:/bin/bash /etc/shadow 사용자 패스워드, 암호정책 정보 형식 계정 : 암호 : 최종 변경일 : 암호 변경까지 남은 날 : 암호 유효기간 : 암호 만료까지 경고 기간 : 암호 만료 뒤 계정 폐쇄까지 기간 : 계정 만료일 : 예비 ex) root:$6$6 lduiBEB9 ja3 FaGN$QrSFLf2 MHySzPCmWfgNxHCqtrJUlfoq2 o5 GH4 nfSMjIW9/fivOH62.ht4 d..
-
vi 에디터System/Linux 2020. 4. 23. 14:56
vi 에디터에는 3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명령 모드 : 입력이 외의 편집 작업 입력 모드 : 데이터 입력 및 수정 실행 모드 : 파일 저장, 종료 명령 모드 ↔ 입력 모드 명령 모드 ↔ 실행 모드 * 명령 모드에서 삽입 모드로 변경 i : 커서 위치부터 입력 a : 커서 다음 칸에 입력 o :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을 삽입하고 입력 I :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앞에 입력 A :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뒤에 입력 * 명령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변경 : * 삽입, 실행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변경 [ESC] * 입력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는 바로 이동이 불가능합니다. ** 명령 모드 * 이동 h, j, k, l (왼쪽, 아래, 위, 오른쪽) gg, G (문서 맨 처음이나 아래로) nG (n 라인으로 이동) ^..
-
CentOs 7 설치 후 설정 - 2System/Linux 2020. 4. 13. 21:57
이전 글 [System/OS] - CentOs 7 설치 후 설정 - 1 1. 방화벽 해제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ntsysv 그러면 부팅시 자동으로 시작되는 서비스들을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리스트에서 firewalld.service를 찾아 *를 제거하고 확인을 눌러 저장하고 빠져나옵니다. 2. SELinux 설정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vi /etc/selinux/config 사진의 SELINUX 부분을 disabled로 바꾸어 주고 저장하고 나옵니다. 이제 리눅스의 모든 초기 세팅이 완료 되었습니다. *참고로 selinux는 보안 정책이 수립되어 있어야합니다. 정책적으로 사용자나 객체에 보안등급이 없다면 의미가 없습니다. 그냥 방화벽일뿐. 하지만 방화벽을 두개나 쓸 ..
-
CentOs 7 설치 후 설정 - 1System/Linux 2020. 4. 13. 21:39
이전 글 [전체보기] - CentOs 7 설치 및 기본 설정 - 2 CentOs 7 설치를 완료했다면 로그인 - 바탕화면에서 우클릭 - 터미널 열기 터미널에 ifconfig를 입력해 ip를 확인합니다. IP를 확인했다면 이제 VMware창을 밑으로 내려놓습니다. 먼저 여기를 클릭해 한글putty를 다운로드합니다. iPuTTY/iPuTTY iPuTTY official: 한국어 환경의 PuTTY terminal emulator (한글 PuTTY) - iPuTTY/iPuTTY github.com 링크 하단에 iPuTTY-0.70.2-x64-ko.zip를 받아 압축을 풀고 putty.exe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설정이 끝나면 첫번째 사진(세션 탭을 클릭하면 됩니다.) 화면으로 돌아와서 다시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
CentOs 7 설치 및 기본 설정 - 2System/Linux 2020. 4. 13. 20:45
이전 글 [System/OS] - CentOs 7 설치 및 기본 설정 - 1 이전 글에서 가상 머신 설정을 모두 완료했습니다. 이제 아래와 같은 버튼을 눌러 가상 머신을 구동시켜 줍니다. 이제 가상 머신이 구동되면 한국어를 선택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먼저 쉬운 것부터 설정하도록 합니다. 소프트웨어 선택 - GNOME 데스크톱 - 호환성 라이브러리, 개발용 도구만 체크 후 완료를 누릅니다. KDUMP - 비활성화 SECURITY POLICY - 비활성화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 - 활성화 이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해야 합니다. 설치 대상 -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체크 후 완료 LVM으로 되어있는 곳을 표준 파티션으로 변경 밑의 + 버튼을 클릭 /boot -> 200 swap -> 1024 (여기선 메모리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