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key 교환
클라이언트 측에서 직접 rsa 키를 만들어 서버측에 공개키를 저장하여 패스워드 없이 ssh접속을 하겠습니다.
1. 먼저 키쌍을 만듭니다.
2. 공개키를 서버에 복사합니다.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면 패스워드 입력없이 로그인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측의 /.ssh/authorized_keys 파일에 클라이언트 측의 공개키가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다른 서버에 만들었던 공개키를 복사하고 윈도우에서 putty로 접속하겠습니다.
1. 먼저 대상 서버에 공개키를 복사합니다.
2. 리눅스에서 만들었던 개인키의 내용을 복사해 메모장에 붙여넣은 후 파일 확장자 없이 저장합니다.
3. 윈도우에서 puttygen을 실행시킵니다.
4. 불러오기 (load)를 클릭하고 리눅스에서 복사하여 만들었던 개인키 파일을 불러옵니다.
5. 개인키 저장을 클릭하여 사용할이름.ppk로 저장합니다.
이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리눅스형식으로 만들어져 있던 개인키를 윈도우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키값이 변하지는 않습니다.
6. putty를 실행하고 접속할 서버 세션을 불러옵니다.
7. 연결 - 데이터에서 로그인할 사용자 id를 입력합니다.
8. 5번 과정에서 만들었던 .ppk파일을 불러옵니다.
9. 메인화면으로 돌아가서 설정한 것을 저장 후 접속합니다.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root계정이 아닌 계정으로 공개키 저장 방식으로 연결한다면
authorized_keys 파일은 /.ssh/에 저장 되지 않고 /home/계정/.ssh/에 저장됩니다.
공개키는 ssh-copy-id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ssh/authorized_keys파일을 만들어서 복사 후 붙여넣어 만들어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