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DNSSystem/Linux 2020. 4. 28. 12:43
이번 실습에서는 Root DNS 부터 TLD, Authoritative DNS 서버 그리고 Cache DNS 까지 구축하고 테스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하나 더 만들어서 테스트 하겠습니다.
Authoritative DNS Server IP : 192.168.10.104
Authoritative DNS Server Domain : timmy
Cache DNS Server IP : 192.168.10.105
Cache DNS Server Domain : kst01.timmy
root dns server의 설정 파일 입니다. root dns server의 zone 파일입니다. 여기서 tld의 모든 dns를 등록해 줘야 합니다. cache dns server의 설정 파일 입니다. ca파일은 root dns server의 주소가 적혀 있는 파일입니다.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에 다른 원래의 root dns는 삭제하고 만들었던 root dns 서버의 아이피만 적어 줍니다. tld server의 설정 파일 입니다. tld server의 zone 파일 입니다. tld server의 dns는 만들었던 cache dns server의 ip로 설정합니다. Authoritative dns server의 설정 파일 입니다. Authoritative dns server의 zone 파일 입니다. Authoritative dns server의 dns는 만들었던 cache dns server의 ip로 설정합니다. 각 서버는 모든 설정이 끝나면 systemctl restart named.service 명령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재시작 해 줍니다.
root dns server에서 Authoritative dns server의 도메인으로 테스트 합니다. cache dns server에서 Authoritative dns server의 도메인으로 테스트 합니다. Authoritative dns server에서 자신의 상위 도메인(tld)이 아닌 다른 도메인의 ip를 요청 할수 있는지 테스트 합니다. 'System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Apache server (0) 2020.05.06 리눅스 NFS (0) 2020.04.28 리눅스 FTP (0) 2020.04.27 cron & rsync (0) 2020.04.27 리눅스 서비스 (0) 2020.04.27